2021년 산행

2021. 05. 15일 양주 노고산 ( 487m)

소담1 2021. 5. 16. 15:14

산행장소 : 양주 노고산(487m)

산행일자 : 2021년 5월 15일 토요일

산행인원 : 인천솔길산악회 11명과 함께

산행경로 : 흥국사버스정류장-사곡교-흥국사-한북정맥주능선-굼뱅이봉-정상(헬기장)-군부대정문-임도길-청룡사갈림길-

              이곡교-일영유원지입구버스정류장

산행시간 : 10 : 20 ~ 14 : 20 (4시간)

 

양주 노고산(老姑山 487m)

장흥면 삼상리와 교현리 , 그리고 고양시 효자동에 걸쳐 있는 높이 495.7m 의 산으로 옛날에 이곳에서 노고할머니에게 치성을 드려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노고산(할미봉)이라는 이름이 붙은 산은 정상부근의 모양이 둥그스름한 형태를 한 노년기 산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공통점이다. 여기에 신령 스러운 이야기가 붙여지면서 노고(老姑)란 흔히 산이나 시내를 주재하는 할머니신으로 묘사되고,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땅이름과 전설이 파생되었다. 계곡주변에는 추사필적(김정희 선생)의 암각문이 있어 더욱 더 유명하다.옛날에 이곳에서 노고할머니에게 치성을 드린 산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장흥면의 노고산은 19 세기 초기의 문헌인 동국여도 (1801~1802) 에서 처음 확인된다 . 한편 대동여지도 (1861) 에서는 노고산의 한자를 ‘노고산 ( 老姑山 ) '이 아닌 ‘노고산 ( 老古山 ) '으로 표기하고 있다 . 대개 노고산 혹은 할미봉이라는 이름이 붙은 산은 정상부근의 모양이 둥그스름한 형태를 한 노년기 산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공통점이다 . 여기에 신령스러운 이야기가 붙여지면서 노고 ( 老姑 ) 란 흔히 산이나 시내를 주재하는 할머니신으로 묘사되고 ,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땅이름과 전설이 파생되었다 . 양주군에서는 광적면 우고리와 덕도리에 걸쳐 또 하나의 노고산이 있다 . 높이는 400.9m 이며 , 땅이름의 유래는 같다 . 산 40-1 번지와 교현리 산 72-1 번지에 걸쳐 있다 .

 

흥국사(興國寺)

흥국사(興國寺)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고양 덕양구한미산 기슭에 있으며, 본·말사 체계에 속해있지 않은 조계종 직할교구이다. 신라 문무왕 원년인 661년원효북한산에서 수행하다가 약사여래를 만난 곳에 흥성암(興聖庵)이라는 절을 지은 것이 흥국사의 시초라고 전해진다. 원효는 본전에 약사여래가 봉안하면서 상서로운 기운이 일어난 곳이라 많은 성인 배출될 것이라는 뜻에서 흥성이라는 이름을 붙였다.이후 오랫동안 사찰의 연혁이 전해지지 않다가 조선 숙종 12년인 1686년에 중창하면서 다시 부흥하기 시작했다. 특히 영조가 생모인 숙빈 최씨의 묘인 소녕원에 다녀오던 길에 이 절에 들렀다가, 직접 지은 시를 편액으로 만들어 내리고 숙빈 최씨의 원찰로 삼으면서 영조와 정조 대에 크게 발전했다. 영조가 하룻밤 머문 후 절 이름은 흥국사로 개칭되었으며, 절이 자리잡은 산도 원래 이름인 노고산에서 한미산으로 바뀌었다.북한산성 입구 쪽에 위치해 있고, 한미산이 군사보호구역으로 출입이 통제되어 사람의 손길이 많이 닿지 않았다. 본전인 약사전 안에는 약사여래상과 정조 16년에 제작된 약사후불탱화가 있다.

  

 

                  흥국사입구에 있는 표지석.

사곡교를 건넌다.

흥국사 올라가는길.

일주문과 불이문.

                  일주문앞.

불이문에서.

범종각.

종무소.

대웅전앞 연등.

한북정맥 주능선길로 올라가는길.

한북정맥 주능선길에 올라서서.

1차 조망터에서.

2차조망터에서.

굼뱅이봉 이정표.

노고산정상 군부대 시설물.

정상아래 헬기장에 정상석이 서있다.

정상석 앞에서.

북한산 정상 백운대와 인수봉 그리고 그사이 숨은벽.

북한산 정상 원효봉 의상봉 멀리 문수봉과 보현봉.

상장능선뒤로 도봉산.

양주쪽 풍경.

군부대 철조망을 따라.

군부대 정문.

임도길.

여기서 우측길로.

이정표에서 임도길을 건너 산길로 들어서야 하는대 청룡사쪽으로 하산하다 일영쪽으로 내려감.

일영쪽에서 노고산 올라가는 입구.

포고산 올라가는 입구이정표.

일영 버스정류장에서 구파발행 버스를 기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