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장소 : 소래산 (蘇萊山 299m)
산행일자 : 2019년 2월 16일 토요일
산행인원 : 남편과 둘이서
산행경로 : 소사역-신학대학정문-성주정-하우고개-성부봉-소래터널위-소래산-상아산-관모산-백범광장-인천대공원역.
산행시간 : 10 : 00 ~ 14 : 00 (4시간)
소래산(蘇萊山299m)
蘇萊山(소래산) 인천 남동구, 경기도 시흥시 경계에 위치한 해발 299.4m 산이다. 신라 무열왕 때(660년) 당나라의 蘇定方(소정방)이 백제를 정벌하기 위해 중국 산동성의주서 에서 덕적도를 거쳐 이 산에 왔다고 해서 蘇萊山(소래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인천시와 시흥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소래산은 성주산과 연결되어 있으며 자연휴양림이 잘 정비되어 있어 있으며 정상부근은 돌이 많아 가파르고 험한 편이나 정상에서 일대를 바로 보는 조망이 뛰어나 등산지로 인기가 높다. 시흥에는 소래산 산림욕장이 있다. 소나무와 잣나무가 많이 자생한다.
상아산(象牙山 151m),官帽山(162m).
象牙山(상아산)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에 위치한 높이 151m산이다. 관모산과 400여m 거리에 연이어 있는 봉우리이다. 코끼리의 상아를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官帽山(관모산)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에 위치한 높이 162m산이다. 산자락으로 인천대공원이 소재하는데 이를 품고 있는 산이 관모산이다. 봉우리가 옛 관리의 모자처럼 생겼다하여 유래된 이름으로 전하며, 달리는 본래 '갓모'라 불리던 것이 '관모'로 변한 것이라고도 한다. 동쪽으로는 인접한 봉우리인 상아산이 있으며 건너로 산의 본줄기인 소래산이 이어져 솟구쳐있다.
인천대공원(仁川大公園)
인천광역시에서 가장 큰 공원으로 인천대공원사업소가 운영을 담당하고 있고, 남동구 장수동에 있으며, 2005년 7월부터 입장료를 전면 유료화 했다가 관광객, 주민, 이용객 등의 반대로 2007년 1월 1일부터 입장료를 폐지했다. 야산에 둘러싸인 아담한 분지로 관모산(162m) 일대에 걸쳐 있으며 소래산 줄기의 상아산과 거마산을 끼고 있다. 관모산은 산의 모습이 관(冠)과 같아서, 거마산은 말이 서 있는 형상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주위가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되어 도심 속에서 농촌 풍경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주요시설로는 92과 332종 6550본의 식물을 보유하고 있는 식물원과 1만 300여 주의 다양한 장미가 심어져 있는 장미원, 58종 231마리를 보유하고 있는 어린이동물원, 23만㎡의 수목원, 환경미래관, 자전거광장, 관모산등산로, 사계절 썰매장 등이 있다. 이밖에 백범광장과 전망대, 궁도장, 조각원, 야외음악당, 산림욕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을 갖추고 있으며, 인조잔디 운동장과 풋살장을 비롯한 운동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시민들이 공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생태도우미라는 모임을 만들어 식물교실과 자연학습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소사역.
서울신학대학교 정문.
몇일전 내린 잔설길을 오르며.
성주정앞 .
하우고개 출렁다리.
하우고개에서 바라본 소래산.
부천시가지쪽.
하우고개에서 성주산올라가는 계단길.
성주산쉼터.
성주산표지앞.
소래산 올라가는 계단앞.
수도권 순환고속도로와 거마산쪽의 풍경.
다녀온 성주산쪽 능선.
소래산 정상에서.
시흥시의 시가지.
가야할 상아산과 관모산.
인천대공원의 모습.
하산하여 바라본 소래산.
상아산 정상석과.
관모산 오름길.
관모산 정상에서.
관모산 정상석에서.
인천대공원과 만수봉에서 만월산 원적산으로 이어지는 한남정맥.
백범광장에서.
인천대공원 후문
인천대공원역에 도착하여.
'2019년 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 02. 23일 강화 마니산 (472.1m ) (0) | 2019.02.24 |
---|---|
2019. 02. 22일 신도, 시도, 모도 (0) | 2019.02.24 |
2019. 02. 09일 태백산 (1,567m) (0) | 2019.02.14 |
2019. 02. 03일 연평도 하편 (0) | 2019.02.06 |
2019. 02. 03일 연평도(안보체험) 상편 (0) | 2019.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