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랑홀로 산행

2013. 06. 21일 부여 사비성 (궁)

소담1 2013. 6. 26. 21:35

 

내가 사는 동네에는 새마을 금고가있다. 오늘은 돈을 예금한 회원들을 상대로 새마을금고 연수원과 부여관광을 한다고 신청을 하라고한다.

나는 일이있어 못가니 은퇴하고 심심해하는 남편보고 다녀오라고하니 노인네들만 가는곳이라고 별로 반응이 없다.

당신도이제 손주가있는 노인이요, 심심한데 갔다오셔 하고 신청을하고 출발하는날이다. 버스 5대에 200명정도가 출발을하여 천안 독립기념관

근처 새마을금고 연수원에서 2시간 강의듣고 식사를 하고 부여로가서 사비성(궁)을 다녀보고 돌아왔다.

 

백제문화단지.

국내유일의 백제역사전문 박물관으로 백제의 역사와 문화의 전반에 대한 자료수집,보존,연구,정보제공등의 기능을 수행.

한눈에 보여주는 상설전시실 백제문화단지 조성과정을 종합전시한 건립기념관,백제관련 영상물 상영 백제정보자료실등을 갖추고있음.

 

사비궁.

중궁전: 사비기지 중궁의재현.중궁정전은 왕의 즉위 의례 신년행사등 각종 국가의식이 거행되고 외국사신을 맞이하는 왕궁의 가장 중요건물.

동궁정: 정전과 외전으로구성,정전의 문사전은 왕이 평소 문관에 관한 집무를 보는 공간으로 문(文)은 동쪽을 의미 외전은 연영전으로 신하들의

           집무공간.

서궁전: 정전과 외전으로 구성.정전인 무덕전은 평소 무관에관한 집무를 보는 공간으로 무(武)는 서쪽의 의미.외전은 인덕전으로 태평성대에

           나타난다는 영물인 기린의 덕을 의미.

 

생활문화마을.

군관주택(계백장군): 숭의당(계백장군침소,개인사무실)선인재(주요전투,군사정보제공)

귀족주택(사택지적): 회우재(손님접대및 업무공간)홍의당(침소,개인집무실,앞마당은 현재 전통혼례체험)

중인주택: 미마지의집,단양이의집,왕유능타의집,아비지의집,마노부노의집,도리의집,신한고귀의집,다리의집으로 형성됨.

서민주택: 탁소의집,서소의집,도미의집,인번의집등.

 

능사.

성왕의 명복을 빌기위한 백제왕실의 사찰.부여읍 능산리 유적재현.능사의 가람배치는 백제사찰의 대표적 배치인 중물-탑-금당-강당 일직선배치.

능사5층목탑: 목탑 심초석에서 국보 288호인 "창왕명석조사리감"이 발굴되어 서기567년 사리를 봉안하고 탑을세웠다는 기록을 알수있음.

                  국내최초로 재현된 백제시대 목탑으로 38m의 높이임.

대웅전: 사찰에서 불상을 모시던 공간으로 외부는 중층이고 내부는 통층이며 예불공간으로서 이곳에 백제불상 삼존불을 모셔있다.

자효당: 대중에게 불법을 설법하던 공간으로 위덕왕의 성왕에 대한 효심을 의미.

향로각: 부여읍 능산리 사찰 유적지에서 국보 287호인 백제 금동대향로가 발굴된곳.

 

고분공원

사비시대의 대표적 고분형태를 보여줌. 부여군 규암면에서 출토된 석실분4기와 은산면에서 출토된 석실분3기가 이전복원됨.

 

위례성

백제 개국초기 도읍을 재현.고규려에서 남하한 온조왕이 터전을 잡은곳.

 

제향루

사비성의 전경을 한눈에 볼수있는 전망대겸 쉼터공간으로 백제의 향기를 느낄수있음.

 

새마을금고 천안연수원의 모습.

 

 

연수원 본관건물.

 

 

백제역사문화관(박물관)의 모습.

 

정양문: 사비성의 정문이다.

 

 

천정문으로 가다가.

 

능사의 5층석탑을.

 

 

잘다듬어진 조경과 보기보다 큰규모의 궁이다.

 

 

 

 

천정문에서 정양문쪽으로.

 

천정전(중궁전) 그앞에서는 평일2회 주말3회의 공연이 펼쳐진다. 14시공연이 펼쳐지고있다.

 

 

서민주택의 모습.

 

 

위례성 정문앞에서.

 

 

 

 

 

 

 

움집내부.

 

 

 

제향루전망대.

 

제향루에서 내려다본 사비궁.

 

제향루에서 위례성을.

 

능사의 모습.

 

 

능사대웅전.

 

 

능사앞 정원에서.

 

 

 

 

 

 

 

 

 

 

사비궁의 전경.

 

 

 

 

 

 

 

박물관의 모습.

 

 

 

 

 

 

 

 

 

백제의 유물전시.